로고

원내·외 소수정당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폐지 반대”

“선거제, 거대양당 밀실 담합은 민주주의의 위기”

최동환 기자 | 기사입력 2023/09/01 [15:52]

원내·외 소수정당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폐지 반대”

“선거제, 거대양당 밀실 담합은 민주주의의 위기”

최동환 기자 | 입력 : 2023/09/01 [15:52]

▲ 기본소득당·노동당·녹색당·시대전환·정의당·진보당 등 원내·외 소수정당들은 1일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폐지 반대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정의당

 

[시대일보=최동환 기자​]기본소득당·노동당·녹색당·시대전환·정의당·진보당 등 원내·외 소수정당들은 1일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폐지 반대 입장을 밝혔다.

 

▲ 배진교 정의당 원내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정의당

 

배진교 정의당 원내대표 이날 국회 본관 로텐더홀에서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위성정당으로 도둑질한 의석을 병립형 비례대표제로 대놓고 훔치겠다는 전언이 거대양당에서 흘러나오고 있다”며 “거대양당의 밀실 담합은 민주주의의 위기”라고 비판했다.

 

배 원내대표는 “선거제도 협상 테이블을 거대양당의 밀실이 아니라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로 다시 가져오라”며 “적대적 공멸의 씨앗을 심은 건 위성정당이지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아니다. 억지 선동을 중단하고 연동형 비례대표제 폐지 법안을 철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강성희 진보당 의원이 발언하고 있다.  ©진보당


강성희 진보당 의원은 “윤석열 정권 심판을 위해서는 다양한 목소리가 공존하고 그 안에서 함께 경쟁하고 연대하는 정치가 필요하며, 민주당 혼자만으로는 불가능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런 점에서 병립형 회귀 논의까지 나오는 최근의 선거법 개정 논의는 매우 우려된다”면서 “대통령 눈치나 보는 국민의힘은 말할 가치도 없지만, 비례성을 강화하는 선거제도 도입을 약속한 민주당의 책임도 분명히 있다”고 강조했다.

 

강 의원은 “기존 정치권이 기득권을 버리지 못하기 때문에 선거제도 개혁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윤 정권 심판을 위해서도 다양한 정치세력의 진출을 돕는 선거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용혜인 기본소득당 상임대표 역시 “거대양당과 김진표 국회의장의 밀실 합의 결론이 병립형 퇴행으로 가닥을 잡아간다고 한다”며 “지금의 고인 물 정치를 바꾸고 정쟁을 넘어 비전 경쟁하는 여의도를 만들려면 다당제 정치가 전제돼야 한다”고 강한 어조로 말했다.

 

용 상임대표는 “제1야당인 민주당의 역할이 중요하다. 민주당이 선거제도 퇴행에 합의하지 않는다면 병립형 회귀는 불가능하다”며 “혁신과 개혁으로 무장한 야 4당의 공조를 더욱 강화하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회견을 마치고 로텐더홀에서 국민의힘과 민주당 양당의 선거제 논의에 반대하는 연좌 농성에 돌입했다.

사진기자
  • 도배방지 이미지

정치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