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일보]정부는 반도체 산업의 지각 변동에 대비하여 용인에 반도체 클러스터를 3조 4천억을 투입, 2027년 말까지 완공 목표로 추진 중이다.
반도체 산업의 지각 변동에 대비한 선제적이고 공격적 투자로 미래 시장 선점 및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처럼 중대한 사업이 제때 이루어지는 것에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수도권에서는 전기 수요가 많이 드는 전기차 확산과 AI 시대를 맞아 데이터 센터를 새로 설치하거나 증설해야 하는 절박함이 있다.
그러나 문제는 이 모든 것을 충족할 수 있는 전기 공급이다. 이를 위해 한전은 동해안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를 수도권으로 보내는 ‘동해안-수도권 송전 선로’를 추진해왔다.
송전탑 436개를 비롯 총사업비 4조 6천억이 넘는 대규모 사업이다. 대규모 전력이 요구되는 반도체 산업이니 데이터 센터 등이 수도권에 몰려있어 꼭 필요한 프로젝트다.
하지만 이처럼 중요한 송전 선로가 6년 7개월이나 늦어지고 있다. 송전 선로가 통과하는 지역의 주민 동의가 제때 이루어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어렵게 공을 들여 통과 지역 주민의 동의를 얻었으나 막판에 하남시에서 막혔다는 보도다.
동해안에서 생산된 전기를 서울을 비롯 수도권에 보내려면 하남시에 동서울 변전소를 증설해야 하는데 하남시가 허가를 해주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하남시가 이를 불허하고 있는 것은 주민들의 반대 여론.
2010년 경남 밀양 송전탑 사태처럼 전자파가 나와 건강을 해친다든지 도시 미관을 해친다는 것이 반대 이유다.
한전은 변전소 증설 불허 처분이 부당하다고 경기도에 행정심판을 청구하여 승소했으나 하남시는 여전히 승인을 하지 않고 있다.
한전은 전자파 괴담 등을 불식시키기 위해 주민들에게 과학적 데이터를 현장에서 직접 확인시켜주는가 하면 송전탑과 변전소 인근 주민들에게 주는 지원금을 11년 만에 20% 가까이 인상시키기도 했다. 나라를 위해 매우 중요한 사업이라는 설득도 했다. 그러나 하남시는 한전의 설득에도 여전히 허가를 하지 않고 있다.
이 사업이 이렇듯 지연되면 수도권 전력난이 심각해질 수밖에 없고 AI 시대를 맞아 폭증하는 데이터 센터 신증설에 차질이 불가피하다.
하남시와 한전의 협력으로 주민 설득이 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시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사설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