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일보]코로나 19 재유행 조짐이 심상치 않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코로나 19 입원 환자 수는 2월 첫째 주(875명) 이후 계속 줄었다가 6월 말부터 증가세로 전환됐다. 올해 7월 첫째 주 91명에서 넷째 주 465명으로 늘었고 8월 첫째 주엔 861명으로 급증했다. 이는 2월 수준에 육박한 수치다. 방역 당국은 13일 방학과 휴가철이 끝나는 8월 하순에 코로나 19 확산이 절정에 이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지난해 6월 엔데믹이 공식 선언된 지 1년여 만에 코로나 19가 재유행할 조짐이 나타나는 것이다.
문제는 코로나 19 엔데믹(풍토병화된 감염병) 전환 이후 공식 집계되지 않는 단순 확진자까지 포함하면 재유행 규모가 이보다 훨씬 더 클 것이란 추정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그간의 코로나 19 유행 추이에 비춰보면 이달 말까지는 환자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는 게 정부 당국의 예상이다.
정부는 방학·휴가가 끝나고 사람들이 다시 모이는 행동 변화가 감염병 유행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는데 냉방과 밀폐된 공간도 여름철 유행의 이유로 꼽힌다. 여기에 더해 의정 갈등에 따른 의료 공백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방역 당국의 신속하고 세심한 대응이 필요한 이유다.
다만, 질병청은 팬데믹으로 이어지진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고령층을 중심으로 입원 환자가 늘고 있지만, 아직 규모가 제한적이고 치명률이나 중증화율 또한 기존 오미크론 변이들과 큰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현재 감염병 위기 단계 중 가장 낮은 ‘관심’ 단계를 올리거나 방역 지침을 강제하지 않는 것도 이 때문이다. 질병청은 일단 주기상 8월 말이나 9월 초까지 확진자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는데 휴가지에서 감염된 뒤 휴가를 마친 직장인과 개학을 맞은 학생을 중심으로 확산될 수 있다. 전공의(인턴, 레지던트) 병원 이탈 사태로 의료진이 부족한 상황이라 중환자가 급증할 경우 의료 공백 확산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정부는 코로나 19 발생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의료 현장에서 차질이 없는지 살펴야 한다.
다행히 현재 유행하는 오미크론의 후손 격인 KP.3 변이의 중증도와 치명률이 크게 높지는 않다고 한다. 이에 따라 정부 당국은 아직 위기 단계를 상향 조정할 상황은 아니라고 보고 있지만 그렇다고 안도할 일은 아니다. 코로나 19 변이가 고위험군 환자 등을 언제든 위협할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질병관리청은 12일 코로나 19 ‘대책반’ 반장을 국장급에서 지영미 청장으로 격상하고 대응 인력을 ‘1개 반 2개 팀(총 18명)’에서 ‘1개 반 5개 단 12개 팀(총 71명)’으로 대폭 확대하며 ‘총력 대응’을 선언했다. 하지만 동시에 “코로나 19의 치명률은 0.1% 정도이고 50세 미만은 0.01% 미만”이라며 팬데믹(대유행) 가능성에는 선을 그었다. 엔데믹과 함께 코로나 19는 독감과 같은 4급 감염병으로 등급이 낮아지면서 격리 의무가 없다. 따라서 개인적 방역 수칙을 지키는 일이 더욱 중요해졌다.
그러나 사업장에는 방역 수칙이나 대응 규정이 제각각이어서 직장인들 간에는 혼란스럽다는 반응도 나온다. 정부 차원에서 유급휴가 지원 대책 등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없지 않다. 근로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에 대한 고심이 필요한 대목이다. 코로나 19 자가진단 키트 수요도 지난달부터 본격적으로 증가했는데 이달 들어서는 약국에서 판매하는 코로나 19 신속 자가진단 키트 주문 건수가 10배가량 늘었다. 일부 치료제는 품귀 현상을 빚는다는 소식도 있다. 치료제 수급 불안도 당장 해소해야 할 과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주 브리핑에서 코로나 19 검사 건수 대비 양성 반응 비율을 의미하는 양성률이 평균적으로 10%를 넘는다며 세계적인 확산세를 경고하고 나섰다. 유행 규모가 커지면서 대면·외부 활동을 줄이는 양상이 나타날 경우 국내 경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세밀하고 철저한 방역 관리에 한 치의 빈틈도 없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시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사설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